톨스토이가 쓴 나무의 고백이라는
글 가운데에서 사람이 어려운 일을 당하고 불행한 환경을 만나게 되면 네 가지 유형으로 반응하게 된다고 말합니다.
첫 번째 반응 유형은 불행한 환경에서 도망치려고 술이나 세상의 환락에 빠져버리는 인간상입니다.
둘 번째 반응 유형은 불행한 환경에 항복하고 포기해 버리거나 자살하거나 불평 불만 속에 빠져버리는 인간상입니다.
세 번째 반응 유형은 불행한 환경을 독한 마음으로 헤치고 나가는 인간상입니다.
네 번째 유형은 눈을 높이 떠서 하나님을 바라보고 그 불행을 많은 사람을 개조하는 인간상입니다.
어느 곳에 홍수로 인해 나무다리가 떠내려갔습니다. 이 상황 앞에서 사람들은 4 가지로 반응합니다. * 어떤 사람은 하필이면 내가 건너려고 할 때 왜 홍수가 나서 다리가 떠내려 갔는가 하며 신경질을 부리며 화를 내면서 주막에 가서 술이나 퍼 마십니다. *어떤 사람은 이것도 다 팔자 소관이야 하필 내가 건너가려고 할 때 다리가 떠내려 갈 것이 뭐람 까지 것 할 수 없지 하고는 원망 불평 속에 되돌아 가버립니다. * 어떤 사람은 아주 독한 마음을 먹고 다리가 떠 내려 갔다고 내가 못 건너 갈 것인가 하며 옷을 벗어 들고 혼자서 헤엄쳐 건너갑니다.
* 어떤 사람은 자기도 건너가야 하겠지만 남들도 건너갈 수 있도록 다리를 놓기 시작합니다. 그러나 혼자서는 안 됩니다. 같은 정신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들과 함께 모여서 힘을 향해 다리를 놓습니다. 이러한 사람을 가리켜 크리스챤이라고 했습니다. 이 공동체가 곧 교회라고 톨스토이는 말했습니다. 우리 송월 교회가 이런 교회가 되시기를 바랍니다.
톨스토이 인간 한계 상황
톨스토이는 인간의 한계상황을 이렇게 말해주고 있습니다. 한 나그네가 광야를 걷고 있습니다. 사자가 쫒아 오기에 도망가다가 보니 마침 낭 떨어지가 있고 칡이 내려져 있었습니다. 그는 다행이라 여기며 칡을 붙들고 낭 떨어지로 내려 갔습니다. 사자가 가버리면 다시 올라오면 되리라는 안도감에 긴 한숨을 내쉬었습니다. 그런데 밑을 보니 큰 구렁이가 입을 벌리고 떨어지기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. 그러나 그는 밤만 되면 어디론가 도망갈 수 있으리라는 소망이 생겨 참고 있었습니다. 그런데 이것이 왠 일입니까? 휜 쥐(낮)과 검은 쥐(밤)이 들락날락하면서 칡을 갉아 먹고 있었습니다. 배가 고파왔습니다. 그런데 위의 꿀벌의 집에서 꿀이 한 방울 두 방울 떨어지고 있었습니다. 그는 떨어지는 꿀을 받아 먹으며 맛있다고 느끼고 있었습니다. 이것이 바로 인생이라고 톨스토이는 말해주고 있습니다. 이렇게 한계 상황 속에 살고 있는 인간에게는 꼭 필요한 것은 하나님의 은혜입니다.
댓글0개